서버리스 아키텍처 소셜미디어 개발기 0편
Firebase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소셜 미디어용 카드는 Embed.ly 를 이용해서 만들어 github-page에 자동으로 배포하는 100% 서버리스 아키텍쳐의 소셜 미디어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레임워크는 react를 써 볼까 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진행하면서 https://github.com/ehrudxo/standup 깃헙 프로젝트에
Firebase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소셜 미디어용 카드는 Embed.ly 를 이용해서 만들어 github-page에 자동으로 배포하는 100% 서버리스 아키텍쳐의 소셜 미디어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레임워크는 react를 써 볼까 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진행하면서 https://github.com/ehrudxo/standup 깃헙 프로젝트에
2016년 2월 8일에 올라온 Jack Franklin님의 글입니다. ※ 주의 : 원문이 더 이해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 :) ES2015에는 매우 방대한 양이 새로운 기능으로 추가 되었습니다.그 중에 대부분의 것은 환영받는 기능이지만 화살표 함수, 맵, 클래스, 구조분해 할당 등 생소한 기능이 많기 때문에 기존 사용자들이 배우는데 큰 비용이 듭니다.다행히도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 – deno2018년 6월 2~3일 양일간 JavaScript 최대 컨퍼런스인 JSConf 유럽 행사인 JSConf EU 가 개최되었다. 필자는 가보지 못했지만 , TC39 패널도 나오고 Remy Sharp 도 발표자로 나오고 하니 볼만한 컨퍼런스
GitHub Trends (6월 2주)한동안 살펴보지 않았던 GitHub 트렌드에 다시 관심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요새 너무 회사일만 했더니 뭔가 새로운 걸 해보고 싶은데, 재미있을만한 게 생각이 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GitHub 트렌드를 보다보면 재미있는걸 찾는데
저희 서비스중에 외부연동으로 데이터를 벌크로 등록하는 서비스가 있는데요..트랜젝션이 좀 복잡한 데이터가 분당 100개씩 2~3시간 정도 등록하면 OOM으로 서버가 죽는 현상이 있었습니다.힙덤프 분석을 해보니 핀포인트쪽 문제로 확인 되어서 핀포인트를 제거 하니까 OOM이
우리가 편하게 개발하고 있는 토대가 되는 여러가지 도구들, 혹은 기술들 중에 ‘이건 도대체 어떻게 만들었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될때가 종종 있다.나중에 한번 알아봐야지 하고 그냥 지나칠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세상은 나처럼 게으른 자를 위해 나보다 조금 더 부지런한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개발은 이미 일상이 되어버린 2018년 봄에 이런 글을 쓰게될 줄은 몰랐는데, 최근에 몇가지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다가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반응형 웹에 대한 개념은 있지만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를 모른다는 사실과 직면하게 되었다.
devpools는 개발 바보들이 모여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입니다. fools. 가 바보인 것도 나중에 알았다는 것은 안 비밀.